VTP(Vlan Trunking Protocol)

  • 불특정 한 vlan id를 사용하다 보면 사람이 스위치에 같은 값을 넣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
  • 중간 스위치가 vlan을 사용하는 pc가 없더라도 설정해줘야 하는 단점
  • vlan 정보를 동기화
  • server mode / transparent mode / client mode
  •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모든 스위치는 서버 모드
  • 클라이언트는 서버에서 내용을 받아 사용
  • 트랜스페어런트 모드는 자기 스위치에 동기화 x, 자체 vlan 유지
  •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넘기는 역할을 함
  • version 1,2가 있지만 보통 2번을 사용

연결 방법

mode 설정

  1. Switch0(config) # vtp version 2
  2. Switch0(config) # vtp mode server
  3. Switch0(config) # vtp domain name(ex.cisco)
  4. Switch0 # show vtp status -> 작업한 내용 확인
  5. Switch0(config) # int port번호(ex.f0/1)
  6. Switch0(config-if) # sw mode trunk
  7. 모든 switch에 적합한 mode와 trunk 적용

server에서 vlan 생성

  1. Switch0 # show vtp status -> revision이 0인 것과 vlan이 5개인 것을 확인(default값)
  2. Switch0(config) # vlan 10
  3. Switch0 # show vtp status -> revision이 1인 것(수정할 때마다 증가)과 vlan이 6개인 것을 확인
  4. client에서는 새로운 vlan 생성 불가능
  5. transparent은 독립적

STP(Spanning Tree Protocol)

  • 서로 핑이 잘 나가지만 하나의 선만 장애가 나도 통신이 끊김 -> 이중화를 통해 장애가 생겨도 통신이 가능하게 함
  • 생긴 것만 이중화일 때, 브로드캐스트는 데이터가 소멸되지 않은 채 계속 돌아감(브로드캐스트 스톰)
  • loop 구조로 결국은 다운됨
  • 이를 stp가 탐지하여 blocking(주황색)을 만듦 -> packet tracer에는 default로 적용되어 있음
  • 루트 스위치에 따라 blocking 위치는 변경됨
  • 루트 스위치는 Bridge ID가 가장 작은 스위치
    Bridge ID = Bridge Priority + MAC Address
  • 나머지는 none root(nr)이라 부름
  • nr에서 root와 가장 가까운 포트를 root port라고 함
  • link designated port(지정 포트) : 해당 링크에서 루트 스위치에 더 가까운 포트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포트

연결 방법

Root Switch 확인

  1. Switch # show version -> base mac address 확인
  2. Switch # show spanning-tree -> bridge id, priority 확인

Root Switch 변경

  1. Switch0(config) # spanning-tree vlan 1 priority 4096 -> 4097 = 4096 + vlan number(4096의 배수)
  2. blocking port가 변경된 것을 확인 가능

'🔐 [정보보안] 모의해킹 침해대응 전문가 취업캠프 > Packet Trac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acket Tracer] L3 Switch  (0) 2023.08.23
[Packet Tracer] WAN  (0) 2023.08.23
[Packet Tracer] 무선 LAN  (2) 2023.08.22
[Packet Tracer] NAT  (2) 2023.08.22
[Packet Tracer] DHCP  (0) 2023.08.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