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 image
[Packet Tracer] ACL
ACL(Access Control List) 라우터는 출발지와 목적지 주소를 참고, 라우팅 테이블에 기초해 패킷을 전달 ACL은 주소 기반으로 패킷 출입을 통제 사용 목적은 보안(침입통제), 트래픽 제어 표준 ACL : IP 주소만 필터링 특정 IP 밴 -> 악성 사용자 차단, 대역으로 지정 특정 IP만 허용 -> 인트라넷 확장 ACL : IP, TCP, UDP, 포트번호, 서비스 필터링 named 표준 ACL : 표준 ACL과 같으나, 선언 시 name을 번호가 아닌 사용자 설정값 사용 named 확장 ACL : 확장 ACL과 같으나, 선언 시 name을 번호가 아닌 사용자 설정값 사용 들어오는 패킷, 나가는 패킷 두 가지 종류가 있음 연결 방법 표준 ACL group number : 1-99, 130..
2023.08.21
no image
[Packet Tracer] 라우팅 프로토콜
Serial 케이블 Router 간 통신 속도를 더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 Serial 케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선 Router에 추가적인 모듈 설치가 필요 Router Physical에 HWIC-2T를 0/0에 삽입, 나머지는 크기에 맞춰 NM-Cover/WIC-Cover 삽입 정적 라우팅 라우팅 테이블로 수동 설정 규모가 크다면 하나하나 작성하기 힘듦 연결 방법 각 네트워크 장치에 기본 설정(ip 설정 등) Router0에 Router1에 대해 수동으로 알려줘야 함 Router0 > en Router0 # conf t Router0(config) # ip route Router0에 알려줄 대역(ex.200.1.1.0) 서브넷마스크(ex.255.255.255.0) 경유할 port ip(ex.10.1.1.1..
2023.08.19
no image
[Packet Tracer] Packet Tracer 기본
PC / Server PC / Server IP 설정 PC / Server 클릭 상단 menu에서 Desktop 선택 IP Configuration 선택 후 IP 지정 PC / Server 연결 같은 계층끼리 연결할 때는 cross-over 케이블(점선)을 사용 다른 계층끼리 연결할 때는 straight-through 케이블(실선)을 사용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을 위해 ping ip주소(IP Configuration이 아닌 Command Prompt에서 수행) ex. ping 203.230.7.2 Router / Switch / PC Router IP 설정 Router 선택 상단 menu에서 CLI(Command Line Interface) 선택 위 사진과 같이 물음이 있다면 no, 없다면 ..
2023.08.16
no image
[Packet Tracer] OSI 참조 모델
OSI 참조 모델의 개요 통신 기술의 도입과 통신 기능의 확장을 쉽게 하려고 프로토콜을 몇 개의 계층으로 나누는 것을 ‘계층화’라 하고, 통신 기능을 7 계층으로 분류하여 각 계층마다 프로토콜을 규정한 규격을 OSI(Open System Interconnection)’ 모델이라고 한다.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 두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링크를 활성화하고 관리하는 전기적·기계적·절차적·기능적 특성 등을 정의 허브, 라우터, 네트워크 카드, 케이블 등 전송매체를 통해 비트(bit)를 전송 특성 OSI 참조 모델 7 계층 중 물리 계층은 최하위 계층인 첫 번째 계층으로, 상위 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물리매체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전기적 신호로 전송 LAN 카드, 케이블, 허브, 라우..
2023.08.09
no image
[Packet Tracer] 네트워크 통신
통신방식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‘서버’라 하고, 서버에서 보내주는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는 컴퓨터를 ‘클라이언트’라고 함 서버는 클라이언트(사용자)한테 요청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, 이렇게 구성된 시스템을 ‘클라이언트/서버 시스템’이라고 함 LAN에서 통신하는 방식 유니캐스트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신 방식으로 수신지 주소(MAC 주소)를 적어 특정 컴퓨터에만 전송 브로드캐스트는 영역 안에 있는 모든 컴퓨터에 한 번에 다 전송 멀티캐스트는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의 장점을 결합하여 특정 그룹 컴퓨터에만 한 번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그룹 이외의 컴퓨터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 유니캐스트(Unicast) 네트워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니캐스트(Unicast)는 서버와 클라이언..
2023.08.09
no image
[Packet Tracer] 네트워크의 구성
네트워크 접속장치 LAN 카드(NIC, Network Interface Card) LAN 카드는 두 대 이상의 컴퓨터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려고 외부 네트워크와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컴퓨터 내에 설치하는 확장 카드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물리적 장치에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LAN 카드가 있어야 함 LAN 카드는 전송매체에 접속하는 역할과 데이터의 입출력 및 송수신, 프로토콜의 처리 기능 등을 담당 이 카드는 마더보드의 확장 슬롯에 설치하며, 네트워크 케이블을 연결하는 외부 포트를 포함 MAC 주소(Media Access Control address) 각 LAN 카드에 할당된 48비트의 물리적 주소(고유의 식별 코드) 이 주소는 사용자의 컴퓨터와 물리적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, ..
2023.08.09
no image
[Packet Tracer] 네트워크의 이해와 설정
패킷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단위(작은 조각) 용량이 큰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작게 나누어서 보내는 것이 규칙 나누어 보낼 때는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수신지에서는 분할된 패킷을 원대래로 재결합하는 작업 필요 대역폭(Bandwidth)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신호의 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의 차이를 말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속도이며 기본 단위는 bps(bit per second)
2023.08.09